수실잡
공부는 저희 친구들이 잘해요
수실잡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
블로그 메뉴

  • 🏠블로그 홈
  • 💭태그 클라우드
  • 📬방명록
  • 🛠️블로그 관리
  • 📝글 쓰러 가기
  • 분류 전체보기 (127)
    • 교양(학문의 기초) (22)
      • 미적분학 (1)
      • 물리 (1)
      • 화학 (1)
      • 생물 (0)
      • 통계 (0)
      • 공학수학 (19)
    • 프로그래밍 언어 (2)
      • C (0)
      • C++ (0)
      • Java (0)
      • Python (2)
      • MATLAB (0)
      • R (0)
      • Julia (0)
    • 수학 (35)
      • 집합론 (Set Theory) (19)
      • 해석개론 (9)
      • 해석개론의 정수 (1)
      • 선형대수학 (1)
      • 미분방정식 (0)
      • 실해석학 (0)
      • 복소해석학 (0)
      • 대수학 (0)
      • 위상수학 (0)
      • 미분기하학 (0)
      • 응용수학 (0)
      • 확률론 (5)
    • 물리학 (32)
      • 물리수학 (3)
      • 역학 (9)
      • 전자기학 (13)
      • 양자물리 (0)
      • 열역학과 통계물리 (5)
      • 전자기파와 광학 (0)
      • 응집물질물리학 (2)
      • 논문 리뷰 (0)
    • 화학 (16)
      • 물리화학 (11)
      • 분석화학 (1)
      • 유기화학 (1)
      • 무기화학 (0)
      • 생화학 (3)
      • 고분자화학 (0)
      • 화학실험 (0)
      • 논문 리뷰 (0)
    • 재료공학 (1)
      • 재료공학원리 (0)
      • 재료열역학 (0)
      • 결정학개론 (0)
      • 재료상변태 (0)
      • 재료의 기계적 거동 (0)
      • 재료의 전자기적 성질 (1)
      • 재료역학 (0)
      • 기타 (0)
    • 컴퓨터공학 (9)
      •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(0)
      • 인공지능 (0)
      • 양자컴퓨터 (1)
      • 컴퓨터구조 (5)
      • 논리설계 (0)
      • 컴파일러 (0)
      • 운영체제 및 시스템프로그래밍 (1)
      • 논문 리뷰 (1)
      • 계산이론 (1)
    • 전기전자공학 (0)
      • 전기전자회로 (0)
      • 소자 (0)
      • 집적회로 (0)
      • 신호처리, 제어공학 (0)
      • 전파공학 (0)
      • 전력전자공학 (0)
    • 기계공학 (2)
      • 고체역학 (2)
      • 열역학 (0)
      • 동역학 (0)
      • 유체역학 (0)
    • 언어학 (2)
      • 음성학 (0)
      • 음운론 (0)
      • 형태론 (0)
      • 통사론 (2)
    • 기타 등등 (6)
      • 학회리뷰 (3)
      • 꿀팁 (0)
      • 역대 교양수학 성적 통계량 정리 (1)
      • 기타 등등 (2)

공지사항

인기 글

최근 글

최근 댓글

태그

  • Thermal and statistical physics
  • 확률론
  • 차원
  • 선형변환
  • 텐서
  • 가역
  • Diffusion
  • ZFC 집합론
  • 레닌저생화학
  • Athreya
  • 공학수학
  • 기본행렬
  • 벡터공간
  • 행렬
  • 백응생
  • 컴퓨터구조
  • 레닌저 생화학
  • 랭크
  • 선형대수
  • Physical Chemistry
  • 벡터
  • ZFC Set Theory
  • Atkins' Physical Chemistry
  • 열 및 통계물리
  • 행렬식
  • Random walk
  • 일차독립
  • 앳킨스 물리화학
  • 물리화학
  • 확산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수실잡

공부는 저희 친구들이 잘해요

수학/집합론 (Set Theory)

[ZFC Set Theory] XIII. 칸토어 정리 Cantor's Theorem

By 초코맛 도비
2023. 7. 9. 13:41
Language

이 글은 언어로 작성되어 있습니다.
익숙하신 언어를 선택하십시오.

This post is written in Language.
Select the language you prefer.

この文は言語で作成されています。
使用する言語を選択してください。


[lang-en]To see the previous post[/lang-en][lang-ko]이전 글 보러가기[/lang-ko]

 

[lang-en]As noted in the previous post, we will talk about Cantor's theorem. Cantor's Theorem is a fundamental concept in set theory that states that for any given set $X$, the power set of $X$ (denoted as $\mathscr{P}(X)$) is strictly larger than $X$ itself. In other words, there are always more subsets of a set than there are elements in the set. Now let's look at the theorem formally:[/lang-en]

[lang-ko]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, 이번에는 칸토어의 정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. 칸토어의 정리는 집합론의 기본 개념 중 하나로, 어떤 주어진 집합 $X$에 대해 $X$의 멱집합 $\mathscr{P}(X)$는 $X$ 자체보다 크다는 것을 주장합니다. 다시 말해, 집합의 부분집합은 항상 집합의 원소보다 많다는 것입니다. 이제 좀 더 형식적인 형태를 확인해보도록 합시다.[/lang-ko]

 

[thm]{1. ([lang-en]Cantor's Theorem[/lang-en][lang-ko]칸토어 정리[/lang-ko])}[lang-en]Let $X$ be a set. Then $\lvert X \rvert <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.[/lang-en][lang-ko]$X$가 집합이라고 하자. 그러면 $\lvert X \rvert <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가 성립한다.[/lang-ko][/thm]

 

Proof.

[lang-en]If $X = \varnothing$, then it is quite clear that $\lvert X \rvert <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. Hence, assume that $X$ is nonempty. Then, we can see that $\lvert X \rvert \leq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 by considering $x \mapsto \{ x \}$. Thus it suffices to show that $\lvert X \rvert \neq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.[/lang-en]

[lang-ko]만약 $X = \varnothing$이면 $\lvert X \rvert <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임이 당연하므로 $X$가 비어있지 않다고 가정해도 무방합니다. 그러면, $x \mapsto \{ x \}$를 고려할 때, $\lvert X \rvert \leq \mathscr{P}(X) \rvert$임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. 그러므로 $\lvert X \rvert \neq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임을 보이면 충분합니다.[/lang-ko]

[lang-en]Let $f : X \to \mathscr{P}(X)$ be a bijective function. Then, we can define a set $S = \{ x \in X \mid x \notin f(x) \}$. Since $f$ is bijective, there is unique element $e \in X$ such that $f(e) = S$. If $e \in S$, then $e \in f(e)$ and thus makes a contradiction. If $e \notin S$, then $e \notin f(e)$ so $e \in S$ and makes a contradiction. Therefore, there is no bijection from $X$ to $\mathscr{P}(X)$ and, hence, $\lvert X \rvert <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.[/lang-en]

[lang-ko]전단사 함수 $f : X \to \mathscr{P}(X)$가 존재한다고 가정합시다. 그러면 집합 $S = \{ x \in X \mid x \notin f(x) \}$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. $f$가 전단사 함수이므로 $f(e) = S$이도록 하는 $e \in X$가 유일하게 존재합니다. 만약 $e \in S$라면, $e \in f(e)$이므로 $S$의 정의에 모순입니다. 만약 $e \notin S$라면, $e \notin f(e)$이므로 $e \in S$이어야 하여 다시 모순이 발생합니다. 따라서, 처음의 가정인 전단사 함수 $f : X \to \mathscr{P}(X)$가 존재한다는 것이 틀렸음을 알 수 있으며, 따라서 $\lvert X \rvert < \lvert \mathscr{P}(X) \rvert$임을 알 수 있습니다.[/lang-ko]

$\blacksquare$

 

[lang-en]For example, consider a set $X = \{ 1, 2 \}$. The power set $\mathscr{P}(X)$ is $\{ \varnothing, \{ 1 \}, \{ 2 \}, \{ 1, 2 \} \}$. As we can see, while $X$ has 2 elements, $\mathscr{P}(X)$ has 4 subsets, demonstrating Cantor's theorem.[/lang-en]

[lang-ko]예를 들어, 집합 $X = \{ 1, 2 \}$를 고려해 봅시다. 멱집합 $\mathscr{P}(X)$는 $\{ \varnothing, \{ 1 \}, \{ 2 \}, \{ 1, 2 \} \}$입니다. 보시다시피, $X$에는 2개의 원소가 있지만, $\mathscr{P}(X)$에는 4개의 부분집합이 있어, 칸토어 정리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[/lang-ko]

[lang-en]Understanding Cantor's theorem is crucial as it sets the foundation for the concept of cardinal numbers since the theorem shows us the fact that there is a bigger set for every infinite sets. Cardinal numbers, which we will discuss in the next post, offer a way to understand the sizes of sets, particularly infinite sets. And always, thanks for reading.[/lang-en]

[lang-ko]칸토어의 정리를 이해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. 왜냐하면 이 정리는 모든 무한 집합에 대해 더 큰 집합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며, 이는 기수의 개념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기 때문이죠. 기수는 집합의 크기, 특히 무한 집합의 크기를 이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, 이에 대해선 다음 글에서 다룰 예정입니다. 그리고 늘 그렇듯이,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[/lang-ko]

 

[lang-en]To see the next post[/lang-en][lang-ko]다음 글 보러가기[/lang-ko]

'수학 > 집합론 (Set Theor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ZFC Set Theory] XV. 기수의 산술연산 Cardinal Arithmetic  (1) 2024.02.12
[ZFC Set Theory] XIV. 기수 Cardinal Numbers  (0) 2023.08.01
[ZFC Set Theory] XII. 칸토어-슈뢰더-베른슈타인 정리 Cantor-Schröder-Bernstein Theorem  (0) 2023.07.09
[ZFC Set Theory] XI. 집합의 농도 Cardinality of Sets  (0) 2023.07.04
[ZFC Set Theory] Appendix B. 서수 Ordinal Numbers  (0) 2023.06.30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