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시간에는 연립일차방정식에 대해 배워 보겠습니다. 연립일차방정식은 다들 잘 아시듯이
$$\left\{ \begin{matrix} a_{11}x_1 +a_{12}x_2 +\cdots +a_{1n}x_n =b_1 \\ a_{21}x_1 +a_{22}x_2 +\cdots +a_{2n}x_n =b_2 \\ \quad \vdots \\ a_{m1}x_1 +a_{m2}x_2 +\cdots +a_{mn}x_n =b_m \end{matrix} \right.$$
의 꼴로 나타납니다. 여기서 계수행렬을
$$A=\begin{pmatrix} a_{11} & a_{12} & \cdots & a_{1n} \\ a_{21} & a_{22} & \cdots & a_{2n} \\ \vdots & \vdots & & \vdots \\ a_{m1} & a_{m2} & \cdots & a_{mn} \end{pmatrix}$$
라 하면
$$x=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\vdots \\ x_n \end{pmatrix}, b=\begin{pmatrix} b_1 \\ b_2 \\ \vdots \\ b_m \end{pmatrix}$$
에 대해서 연립방정식은 $Ax=b$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방정식을 풀 때는 두 가지를 따집니다. 1. 해가 존재하는가? 2. 해가 존재한다면, 해는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가?
먼저 연립일차방정식의 해가 존재할 조건과 해가 존재하지 않을 조건을 살펴봅시다.
연립일차방정식은 $Ax=b$와 첨가행렬 $(A \, | \, b)$에 대하여
- 연립일차방정식의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은 $\mathrm{rank}(A) = \mathrm{rank}(A \, | \, b)$인 것이다.
- 해가 존재하지 않을 필요충분조건은 $\mathrm{rank}(A) \neq \mathrm{rank}(A \, | \, b)$인 것이다.
1번이 성립하면 2번은 1번의 대우 명제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성립합니다. 그러므로 1번만 증명하겠습니다.
(→) 연립일차방정식의 해가 존재하고 그 중 하나를 $x' = x_1'e_1 + x_2'e_2 + \cdots + x_n'e_n$라 합시다.
$$b = Ax' = \sum_{i=1}^{n} x_iAe_i = \sum_{i=1}^{n} x_i \begin{pmatrix} a_{1i} \\ a_{2i} \\ \vdots \\ a_{mi} \end{pmatrix}$$
이므로 $b$는 $A$의 열벡터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내어집니다. 따라서 (1-26)에 의해 $\mathrm{rank}(A) = \mathrm{rank}(A \, | \, b)$입니다.
(←) 위 증명과정을 그대로 거꾸로 밟아 나가면 됩니다.
이제 연립방정식의 해가 존재한다면 얼마나 많이 존재하는지 살펴봅시다. 해가 얼마나 많이 전재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동차 연립일차방정식, 비동차 연립일차방정식, 동차해, 특수해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.
- 연립일차방정식 $Ax=b$에 대응되는 동차 연립일차방정식은 $Ax=\mathit{0}$이다.
- 동차 연립일차방정식 $Ax=\mathit{0}\,$의 해를 동차해라고 부르며, $x_h$라고 쓴다.
- 비동차 연립일차방정식 $Ax=b$$b \neq \mathit{0}\,$의 한 해를 특수해라고 부르며, $x_p$라고 쓴다. $Ax=b$의 해가 여러 개일 수 있는데, 이때는 $x_p$는 이 해들 중 임의의 하나로 잡는다.
동차해의 성질을 알면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에 대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.
연립일차방정식 $Ax=b$의 특수해를 $x_p$라 하자.
- 동차해의 집합은 $\mathsf{K} = \mathsf{N}(\mathsf{L}_A)$이다.
- $\mathrm{dim}(\mathsf{K}) = n - \mathrm{rank}(A)$
- 연립일차방정식 $Ax=b$의 해집합은 $X=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$이다.
- $\mathsf{K} = \left\{ x \, | \, x \in F^n, Ax = \mathit{0} \, \right\} = \mathsf{N}(\mathsf{L}_A)$
- $\mathsf{K} = \mathsf{N}(\mathsf{L}_A)$이므로 $\mathrm{dim}(\mathsf{K}) = \mathrm{nullity}(\mathsf{L}_A)$이고, 차원정리 (1-11)에 의해서 $\mathrm{nullity}(\mathsf{L}_A) = \mathrm{dim}(F^n) - \mathrm{rank}(\mathsf{L}_A)$입니다. 행렬의 랭크의 정의 (1-20)에 의해 $\mathrm{rank}(\mathsf{L}_A) = \mathrm{rank}(A)$입니다. 따라서 $\mathrm{dim}(\mathsf{K}) = n - \mathrm{rank}(A)$이 성립합니다.
- 해집합 $X$가 $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$와 같다는 것을 보여야 합니다. 먼저 $X \subset 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$임을 보입시다. $w \in X$에 대하여 $Aw=b$입니다. 한편 $Ax_p=b$이므로 $A(w-x_p)=\mathit{0\,}$이므로 $w-x_p \in \mathsf{K}$입니다. 따라서 $w $$= x_p + (w-x_p) \in 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$이므로 $X \subset 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$입니다. 다음으로 $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 \subset X$임을 보입시다. 임의의 $k \in \mathsf{K}$에 대하여 $A(x_p+k)$$=Ax_p+Ak$$=b+\mathit{0\,}$$=b$이므로 $x_p+k \in X$입니다. 따라서 $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 \subset X$입니다. 따라서 $X=\left\{x_p \right\} + \mathsf{K}$입니다.
이제는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를 구체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성질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.
$n$개의 미지수와 $m$개의 일차방정식으로 이루어진 연립일차방정식 $Ax=b$와 $m \times m$ 가역행렬 $C$에 대하여 다음 두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집합은 같다.
$$Ax=b, \qquad (CA)x=Cb$$
$Ax=b$의 해집합을 $X$, $(CA)x=Cb$의 해집합을 $X'$이라 합시다.
먼저 $X \subset X'$인지 살펴봅시다. $x_1 \in X$에 대하여 $Ax_1=b$이고, $CAx_1=Cb$이므로 $x_1$은 $(CA)x=Cb$의 해입니다. 따라서 $X \subset X'$입니다.
다음으로 $X' \subset X$인지 살펴봅시다. $x_2 \in X'$에 대하여 $(CA)x_2=Cb$입니다. $C$는 가역행렬이므로 $C^{-1}(CA)x_2=C^{-1}Cb, \,$$ Ax_2=b$이고 $x_2$는 $ Ax_2=b$의 해입니다. 따라서 $X' \subset X$입니다.
$X \subset X'$, $X' \subset X$이므로 $X=X'$입니다.
가역행렬 $C$는 기본행렬의 곱 $C=E_n \cdots E_2 E_1$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므로, 기본행렬을 잘 잡으면 $(CA)x=Cb$는 연립일차방정식 $Ax=b$ 양변에 동일한 기본행연산을 취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 즉, 양변에 동일한 기본행연산을 취해도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는 변하지 않습니다. 중학교 시절 수학 시간에 연립일차방정식을 배울 때 가감법을 썼던 것 기억하나요?
$$\left\{ \begin{matrix} 3x+2y=8 \\ x+y=3 \end{matrix} \right .$$
을 풀 때 두 번째 식에 2를 곱한 뒤 첫 번째 식에서 빼서 미지수 $y$를 없애는 방법인데요, 두 번째 식에 2를 곱하는 것, 이를 첫 번째 식에서 빼는 것 모두 기본행연산임을 생각해보면 가감법이 왜 해를 바꾸지 않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.
기본행연산을 이용하여 주어진 연립일차방정식을 간단한 형태의 연립일차방정식으로 바꿀 때는 다음의 규칙을 따릅니다.
- 각 방정식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0이 아닌 계수는 1이다. 그리고 1행 1열은 1이다.
- 어떤 방정식에서 계수가 처음으로 1인 미지수는 다른 방정식에서 계수가 0이다.
- 처음으로 계수가 0이 아닌 미지수의 위치는 다음 방정식이 이전 방정식보다 뒤에 있다.
예를 들어 다음 두 연립일차방정식은 위 4가지 규칙을 만족시킵니다.
$$\begin{pmatrix} 1 & 0 & 0 \\ 0 & 1 & 0 \\ 0 & 0 & 1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x_3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2 \\ 3 \\ 1 \end{pmatrix}$$
$$\begin{pmatrix} 1 & 0 & -2 & 0 \\ 0 & 1 & 3 & 0 \\ 0 & 0 & 0 & 1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x_3 \\ x_4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3 \\ -1 \\ 1 \end{pmatrix}$$
하지만 다음 세 연립일차방정식은 각각 규칙 1, 2, 3을 만족시키지 않습니다.
$$\begin{pmatrix} 2 & 0 & 0 \\ 0 & 1 & 0 \\ 0 & 0 & 1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x_3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4 \\ 3 \\ 3 \end{pmatrix}$$
$$\begin{pmatrix} 1 & 1 & -2 & 0 \\ 0 & 1 & 3 & 0 \\ 0 & 0 & 0 & 1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x_3 \\ x_4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4 \\ 3 \\ 1 \end{pmatrix}$$
$$\begin{pmatrix} 1 & 0 & -2 & 0 \\ 0 & 0 & 0 & 1 \\ 0 & 1 & -3 & 0 \end{pmatrix} 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x_3 \\ x_4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2 \\ 1 \\ 3 \end{pmatrix}$$
규칙 1~3을 모두 만족시키는 행렬은 행간소사다리꼴 행렬이라고 부릅니다.
이제 본격적으로 연립일차방정식을 풀어보겠습니다.
$$\left\{ \begin{matrix} 2x_1+x_2-4x_3+3x_4+5x_5=14 \\ x_1+2x_2-2x_3+4x_4+9x_5=16 \\ x_1+x_2-2x_3+3x_4+6x_5=12 \end{matrix} \right .$$
연립일차방정식을 풀 때는 첨가행렬 $(A \, | \, b)$를 이용합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2 & 1 & -4 & 3 & 5 & 14 \\ 1 & 2 & -2 & 4 & 9 & 16 \\ 1 & 1 & -2 & 3 & 6 & 12 \end{array} \right)$$
이 첨가행렬이 행간소사다리꼴 행렬이 되도록 기본행연산을 수행합니다.
(1단계) 1행과 2행을 바꿉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2 & -2 & 4 & 9 & 16 \\ 2 & 1 & -4 & 3 & 5 & 14 \\ 1 & 1 & -2 & 3 & 6 & 12 \end{array} \right)$$
(2단계) 2행에 1행의 (-2)배, 3행에 1행의 (-1)배를 더합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2 & -2 & 4 & 9 & 16 \\ 0 & -3 & 0 & -5 & -13 & -18 \\ 0 & -1 & 0 & -1 & -3 & -4 \end{array} \right)$$
(3단계) 2행과 3행을 바꿉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2 & -2 & 4 & 9 & 16 \\ 0 & -1 & 0 & -1 & -3 & -4 \\ 0 & -3 & 0 & -5 & -13 & -18 \end{array} \right)$$
(4단계) 2행에 (-1)을 곱합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2 & -2 & 4 & 9 & 16 \\ 0 & 1 & 0 & 1 & 3 & 4 \\ 0 & -3 & 0 & -5 & -13 & -18 \end{array} \right)$$
(5단계) 1행에 2행의 (-2)배, 3행에 2행의 3배를 더합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0 & -2 & 2 & 3 & 8 \\ 0 & 1 & 0 & 1 & 3 & 4 \\ 0 & 0 & 0 & -2 & -4 & -6 \end{array} \right)$$
(6단계) 3행에 $-\dfrac{1}{2}$을 곱합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0 & -2 & 2 & 3 & 8 \\ 0 & 1 & 0 & 1 & 3 & 4 \\ 0 & 0 & 0 & 1 & 2 & 3 \end{array} \right)$$
(7단계) 1행에 3행의 (-1)배, 2행에 3행의 4배를 더합니다.
$$\left( \begin{array}{c c c c c | c} 1 & 0 & -2 & 0 & -1 & 2 \\ 0 & 1 & 0 & 0 & 1 & 1 \\ 0 & 0 & 0 & 1 & 2 & 3 \end{array} \right)$$
(7단계)에서 얻은 행렬에 대응되는 연립일차방정식은
$$\left\{ \begin{array}{l l l l l l} x_1 & & -2x_3 & & -x_5 & =2 \\ & x_2 & & & +x_5 & =1 \\ & & & x_4 & +2x_5 & =3 \end{array} \right .$$
입니다. 계수가 처음으로 1인 미지수는 $x_1$, $x_2$, $x_4$이고, 그렇지 않은 미지수는 $x_3$, $x_5$입니다. 세 개의 방정식에서 $x_3$, $x_5$를 좌변으로 넘기고, $x_3 = t_1$, $x_5 = t_2$라 하면 다음과 같이 해가 표현됩니다.
$$\left\{ \begin{array}{l} x_1 = 2+2t_1+t_2 \\ x_2 = 1 - t_2 \\ x_3 = t_1 \\ x_4 = 3 - 2t_2 \\ x_5 = t_2 \end{array} \right .$$
$$\begin{pmatrix} x_1 \\ x_2 \\ x_3 \\ x_4 \\ x_5 \end{pmatrix} = \begin{pmatrix} 2 \\ 1 \\ 0 \\ 3 \\ 0 \end{pmatrix} + t_1 \begin{pmatrix} 2 \\ 0 \\ 1 \\ 0 \\ 0 \end{pmatrix} + t_2 \begin{pmatrix} 1 \\ -1 \\ 0 \\ -2 \\ 1 \end{pmatrix}$$
모든 미지수가 매개변수 $t_1$, $t_2$로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해를 표현하기 위해 첨가행렬을 행간사다리꼴 행렬로 바꾼 것입니다. 그리고 이렇게 표현된 해를 연립일차방정식의 일반해라고 부릅니다.
여기서 한 가지 확인할 것이 있습니다. 세 벡터
$$x_1 = \begin{pmatrix} 2 \\ 1 \\ 0 \\ 3 \\ 0 \end{pmatrix} , x_2 = \begin{pmatrix} 2 \\ 0 \\ 1 \\ 0 \\ 0 \end{pmatrix} , x_3 = \begin{pmatrix} 1 \\ -1 \\ 0 \\ -2 \\ 1 \end{pmatrix}$$
를 $Ax = \begin{pmatrix} 2 & 1 & -4 & 3 & 5 \\ 1 & 2 & -2 & 4 & 9 \\ 1 & 1 & -2 & 3 & 6 \end{pmatrix} x$에 대입하면 어떻게 되나요? $Ax_1=b=\begin{pmatrix} 14 \\ 16 \\ 12 \end{pmatrix}$, $Ax_2=Ax_3 = \mathit{0\,}$이 나옵니다. 즉, $x_1$은 특수해, $x_2$, $x_3$는 동차해에 해당합니다. 또한 $A$의 랭크가 3인 것을 생각해보면(직접 계산해보세요) $\mathsf{L}_A$의 영공간의 차원이 $n-r=2$이고, 영공간의 기저인 동차해가 2개 나왔습니다. 다음 정리는 이러한 결과가 일반적임을 보여줍니다.
랭크가 $r(r>0)$인 $m \times n$ 행렬 $A$에 대하여 $A$의 행간사다리꼴 행렬을 $B$라 하자.
- $B$의 행들 중 영벡터가 아닌 것은 $r$개이다.
- 해가 존재하는 연립일차방정식 $Ax=b$의 일반해를 $x=x_p+t_1x_1+t_2x_2+\cdots +t_{n-r}x_{n-r}$라 하면 $x_p$는 $Ax=b$의 한 해이고, $\left\{ x_1, x_2, \cdots, x_{n-r} \right\}$는 동차 연립일차방정식 $Ax=\mathit{0\,}$의 해집합의 기저이다.
- 행간사다리꼴 행렬의 정의(규칙 1~3)에 의해 영벡터가 아닌 행들끼리는 모두 일차독립입니다. 따라서 $B$의 행들 중 영벡터가 아닌 것은 $B$의 랭크 $r$개만큼 존재합니다.
- $t_1=t_2=\cdots=t_{n-r}=0$이라 하면 $x=x_p$이므로 $x_p$는 $Ax=b$의 한 해입니다. 한편 (1-35)에 의해 $Ax=b$의 해집합은 동차 연린일차방정식의 해집합 $\mathsf{K}$에 대하여 $X=\left\{ x_p \right\} + \mathsf{K}$이므로 $\mathsf{K} = X + \left\{ -x_p \right\} = \mathrm{span}( \left\{ x_1, x_2, \cdots, x_{n-r} \right\})$입니다. 한편 차원정리 (1-11)에 의해 $\mathrm{dim}(\mathsf{K}) = n - r$이고, $\mathsf{K}$는 원소의 개수가 $n-r$개인 집합에 의해 생성되므로 $\left\{ x_1, x_2, \cdots, x_{n-r} \right\}$는 동차 연립일차방정식 $Ax=\mathit{0\,}$의 해집합의 기저입니다.
'교양(학문의 기초) > 공학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. 선형대수학의 기초_(15) 행렬식 (0) | 2022.08.09 |
---|---|
1. 선형대수학의 기초_(14) 치환 (0) | 2022.08.07 |
1. 선형대수학의 기초_(12) 역행렬 (0) | 2022.07.31 |
1. 선형대수학의 기초_(11) 기본행렬과 행렬의 랭크 (0) | 2022.07.31 |
1. 선형대수학의 기초_(10) 기본행렬 (0) | 2022.07.30 |